2012년 국정감사 보도자료17(10.11)
고작 14.3개월만에 떠나는 입학사정관, 전문성 부족 심각!
우원식 민주통합당(서울 노원을)
◌ 민주당 우원식 의원실이 2007년도 입학사정관제 도입 이후 올해 6월 1일까지 입학사정관 퇴직자 352명의 이력을 살펴보니, 평균 재직기간이 고작 14.3개월에 불과해 이들 대다수가 한 해 입시 업무에 종사하고 그만두는 것으로 드러났음.
- 퇴직 사유를 살펴보니 ‘타대학의 입학사정관으로 이직하는 경우는 고작 30%에 불과’하며, 단순 개인사유, 계약만료, 전직 등 ‘전문성을 전혀 살릴 수 없는 분야나 전직처를 알 수 없는 퇴직이 58%’에 달함.
- 또한 이들 중 정규직으로 종사하다가 퇴직하는 경우는 고작 6명에 불과했으며, 328명이 비정규직이며, 무기계약직이 18명
※ 2012. 6. 1. 기준 퇴직자 퇴직 사유
사유 |
해당자 |
비율 |
의원면직 |
17 |
4.8% |
개인사유 |
72 |
20.5% |
계약만료 |
36 |
10.2% |
전직 |
78 |
22.2% |
타대학 이직 |
107 |
30.4% |
학업 |
35 |
9.9% |
기타 |
7 |
2.1% |
|
352 |
100.0% |
◌ 입학사정관제 전형의 경우는 숫자로 표현할 수 없는 개인의 창의적 능력과 잠재력을 발굴하고 수학기회를 준다는 취지인 만큼 입학사정관의 전문성을 확보하는 것이 입학사정관제 전형의 성공적 안착을 결정하는 요인.
- 그러나 잦은 이직과 과다한 비정규직 비율, 낮은 처우 때문에 입학사정관들의 질 관리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음.
◌ 또한 2013년 입학사정관제 전형 실시 학교가 125학교나 됨에도 불구하고 대학들이 입학사정관의 질을 높이려는 노력은 그다지 보이지 않음.
-‘현재 재직중인 입학사정관 618명 중 정규직 비율은 고작 24%에 불과’한데 반해, 석사는 86%, 박사는 20%에 달해 신분 불안과 처우에 대한 불만족은 매우 높은 수준.
※ 입학사정관 재직자중 석박사 비율
학위 |
인원 |
비율 |
석사 |
531 |
86% |
박사 |
121 |
20% |
|
618 |
100% |
- 지난 5년 간 1500여억 원의 정부 투자에도 불구하고 이처럼 많은 문제점을 보이고 있는 것은 정부 예산에만 기대어 대학들의 자구 노력이 부족한 것도 이유.
◌ 우원식 의원은 “대학들이 입학사정관의 질을 높이는 데는 무관심하고 입학사정관제 전형에도 내신과 수능의 등급제한을 두는 등 입학사정관제 본래 취지를 살리지 못 하고 있다”며 “대학이 입학사정관의 질을 높이려는 자구 노력에 힘쓰지 않으면 입학사정관제 에 대한 불신은 계속될 것이다”고 주장했다.
'보도자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우원식 의원, 교과부, 여의도 30배의 사립대 교육용 토지, 수익사업용으로 풀어줘 (0) | 2012.11.06 |
---|---|
우원식 의원, 한국문화원·한국교육원 통합운영 졸속 추진 (0) | 2012.11.06 |
우원식, "교과부의 헛다리 짚는 학교폭력 종합대책으로, 특별교부금 530억원 예산낭비" (0) | 2012.10.10 |
우원식, "학교폭력 누구와 상담하나? 상담교사가 배치된 학교비율은 고작 44.9%" (0) | 2012.10.10 |
교과부,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정길 원장 봐주기 감사! (0) | 2012.10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