민주 "우린 '유정회' 국회의원 아니야"
"朴대통령, 노무현 정부 당시 청와대 회동 거부해"
[정미하기자] 민주통합당 우원식 원내수석부대표는 5일 전날 박근혜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를 통해 정부조직법 개편안 처리를 압박하고 나선데 대해 "국회 역할까지 모두 빼앗아 가지 말라. 우리는 유정회(유신정우회) 국회의원이 아니다"라고 날을 세웠다.
우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"협상 여지조차 박탈한 채 사전 협의없이 청와대로 부르고, 오지 않는다고 지속적으로 압박하는 것은 옳지 않다"며 "국회에 법 형태로 넘어왔으면 (정부조직법 처리는) 국회의 여야가 할 몫"이라고 말했다.

이와 관련 서영교 의원은 청와대 회동에 민주통합당이 응하지 않고 있는 것을 비판하고 있는 박 대통령 역시 참여정부 당시 야당이었던 한나라당 대표로서 노무현 전 대통령 초청에 응하지 않았던 사실과 비교했다.
서 의원은 "노 전 대통령이 서로 대화하자고 2005년과 2006년에 걸쳐 두 번이나 박 대표에게 면담을 요청하고 청와대에 초청했었다"며 "(당시 박 대표는 노 전 대통령이) 전날 전화했다며 '어떻게 전날 전화해 야당 대표를 불러들일 수 있느냐. 이것은 권위주의의 극치'라고 이야기하며 거부했던 게 노무현 정부 시절 박 대표의 행보였다"고 지적했다.
우 원내수석부대표 역시 "당시에 박 대표는 '지난 번에도 전날 갑자기 (노 전 대통령이) 만찬에 참석하라고 했다. 한번 정도는 그럴 수 있지만 매번 그렇게 하는 건 문제다. (노 전) 대통령이 강조한 게 권위주의 타파인데 이런 식으로 하는 건 권위주의의 극치'라고 했었다"며 "당시 그 말은 야당이 할 수 있는 말로 지금도 마찬가지"라고 일침을 놨다.
서 의원은 정부조직개편안 처리과정에서 민주통합당의 요구가 수용되지 않고 있는데 대해서도 "그동안 이명박 정부·노무현 정부·김대중 정부에서도 정부조직법안과 관련해 야당의 요구를 모두 다 수용했었다"며 ▲김대중 정부 당시 기획예산처 신설이 야당 요구로 중단된 것, 경찰청와 해양경찰청 통합에 대한 야당측 반대 의사 수용 ▲이명박 정부 당시 통일부 폐지에 대한 야당 반대 의사 수용을 예로 들었다.
서 의원은 "노무현 정부 때, 당시 박 대표가 복수차관제 4개 부처 도입을 중단하기를 요구해 (노무현 정부가) 수용했다"며 "박 대표가 건설교통부의 국토교통부 개편 중단도 요구해 당시에 수용했다"고 설명했다.
정미하기자 lotus@inews24.com 사진 조성우기자 xconfind@inews24.com
2013.03.05. 화 10:32 입력
기사원문보기 -> http://news.inews24.com/php/news_view.php?g_serial=728198&g_menu=050220&rrf=nv
'언론보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뉴시스(3.7) 민주 "朴대통령, 국가 상대로 폐업"…장관 임명 촉구 (0) | 2013.03.07 |
---|---|
뉴스1(3.5) 우원식 "합의문 공개, 협상 깨려는 저의" (0) | 2013.03.07 |
뉴스1(3.5) 우원식 "安, 어려운 곳 가서 싸워야" (0) | 2013.03.07 |
경향신문(3.4) 우원식 "막판 SO 법령 제·개정권 문제로 협상 결렬" (0) | 2013.03.07 |
YTN라디오 '뉴스! 정면승부'(3.6)_ 민주당 협상안 거절한 박근혜 정부, 지상파와 종합유선방송까지 언론장악 꾀하는 것 (0) | 2013.03.07 |